QUICK
MENU
전체 11건현재페이지 1/2
Q [치과] 스케일링을 꼭 받아야 하나요? 스케일링하면 이 사이가 벌어진다고 하던데...
A

잇몸질환을 예방하려면 스케일링을 꼭 받아야 합니다.

잇몸이 붓고 피나고 이가 흔들리게 되는 잇몸질환은치아 표면에 쌓인 치석과 치태세균 등이 원인입니다치석은 스케일링을 통해서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 주기적으로 스케일링을 꼭 받아야 합니다스케일링으로 인해 이 사이가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치석으로 인해 부었던 잇몸이 가라앉으면서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이 사이가 벌어진 것으로 오해하게 되는 것입니다.

Q [치과] 스케일링은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? 1년에 한번 무료 아닌가요?
A

주기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 1년에 한번 받으실 것을 권합니다. 3개월에서 6개월에 한번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만 19세 이상의 성인에 대해 1년에 한번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며 본인 부담금이 발생합니다무료는 아닙니다. ^^

Q [치과] 스케일링 소요 시간과 직후에 식사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.
A

소요시간은 대개 20~30분 사이이나 구강 상태에 따라 더 적거나 많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스케일링 후 식사는 바로 가능하지만 당일은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시고 1~2주간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너무 차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Q [치과] 사랑니는 꼭 빼야 하나요?
A

사랑니는 없는 사람도 있지만 사랑니가 나올 공간이 부족해서 누워있거나 일부분이 잇몸에 덮인 경우가 많습니다.

이런 경우에는 음식물 찌꺼기가 잘 고이게 되어 인접한 치아를 상하게 하거나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근막 사이의 감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.

이러한 경우에는 발치하는 것이 좋습니다다행히 공간이 충분하여 사랑니가 바로 나와 기능을 하고 있거나 관리가 잘 되어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굳이

발치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

Q [치과] 찬물이나 차가운 음식에 이가 시려요.
A

이가 시린 원인은섭취한 음식의 산도에 의한 일시적 시린 증상부터 치아 목 부위의 패임이나 충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충치가 있거나 치아가 패인 경우는 수복치료를 통해 치아가 시린 원인을 제거하고 시린 이를 위해 개발된 치약 등을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습니다.

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치과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기를 권합니다

Q [치과] 신경치료는 어떤 치료인가요? 몇 번이나 받아야 하나요?
A

치아의 안쪽에는 가는 신경과 혈관이 분포하고 있습니다충치가 매우 깊은 경우에 감염된 신경과 혈관을 제거한 후 재감염을 막기 위해 멸균된 재료로

밀폐시켜주는 치료입니다(정확한 명칭은 근관치료이나 환자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용적으로 신경치료라고 부릅니다.)

치료 횟수는 치아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 3~4회이며 1회 내원 시 45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됩니다치아의 뿌리 끝이 자극되는 치료이므로

치료 당일과 다음날까지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

Q [치과] 신경치료 후에 크라운 치료를 꼭 해야 하나요?
A

신경치료 한 치아는 자연치아 부분이 많이 남지 않기 때문에 씹는 힘에 의해 깨질 수 있습니다따라서 어금니의 경우는 반드시 씌워서 보호해야 합니다.

남아있는 자연치아 부분이 많고 씹는 힘이 적게 가해지는 앞니의 경우 크라운 치료를 안 하는 경우도 있으나 치아의 상태와 환자의 구강 구조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치의 선생님과의 상의가 필요합니다.

Q [치과] 금(crack)이 간 치아는 어떻게 치료하나요?
A

금은 육안으로 관찰이 쉽지 않고 방사선 사진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정상적인 치아에서도 증상이 없이 잔금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금이 간 치아의 진단은 증상에 의존하여 결정합니다.

환자는 음식을 씹을 때전형적으로 전기 통하는 듯한 강하고 날카로운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증상 치료인 만큼 치과에서 반복적으로 검사 시 동일한

반응을 나타내는 경우에 확진을 내리게 됩니다치료는 다음의 순서로 이뤄집니다.

 

1) 치아 삭제 후 임시 크라운을 씌워 증상이 사라지면 최종 크라운 치료를 합니다.

2) 임시 크라운 후에도 증상이 남아있으면 신경치료를 한 후 최종 크라운 치료를 합니다.

3) 신경치료 후에도 증상이 남아있으면 발치를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.

 

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고 금의 진행을 더디게 막는 치료이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확실히 사용 연한을 보장하지 못합니다.

드물지만 증상이 가라앉아 크라운 치료를 완료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증상이 나타나 발치하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.

물론 오래 잘 쓰는 경우도 많습니다이렇듯 금이 간 치아는 치료 결과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치료 전 충분한 설명 후 치료를 진행합니다

Q [치과] 턱관절에서 ‘딱’하는 소리가 나요.
A

통증을 동반하지 않는 (click)’ 소리는 주로 턱관절 내의 디스크의 위치 변화 때문이며 4명 중 1명에서 관찰되는 흔한 증상입니다이러한 경우에는 

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하지만 씹을 때입을 벌릴 때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입이 안 벌어지거나 안 다물어지는 경우가 있다면 치과에 내원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.

 

Q [치과] 교정이나 미백 치료도 받을 수 있나요?
A
현재 저희 클리닉 치과에서는 교정치료와 미백치료는 실시하고 있지 않습니다.